기술 비서 챗GPT 사용 백서에서 논란

정보자유법으로 공개된 피터 카일의 AI 사용 내역

정보자유법을 통해 영국 기술부 장관 피터 카일의 ChatGPT 사용 내역이 공개되면서 전문가들은 물론 언론계에서도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전 총리 토니 블레어가 자신의 재임 시절 정보자유법 도입을 두고 "바보 같은 짓"이라 평가한 만큼, 이번 사건은 그 말이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블레어의 우려, 카일 사건에서 드러나

블레어는 이 법이 장관과 공무원 간 솔직한 대화를 방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실제로 정보자유법 요청이 도입 이후 거부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이번 사건은 새로운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카일의 ChatGPT 사용 내역 공개

이번 사건은 카일이 AI 챗봇을 이용해 어떤 팟캐스트에 출연할지를 문의한 내역이 공개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정보 공개가 공무원들의 AI 사용에 대한 긴장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예전부터 개인 휴대폰의 메시지나 문자도 요청 대상이 되었지만, 이번 정보 공개는 더욱 많은 이들의 요청을 부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법률적 시사점과 예외의 존재

법률 전문가 마틴 로젠봄은 "공공기관을 대표하여 이루어진 모든 사항은 정보자유법의 대상"이라며, AI와의 상호작용도 예외가 될 수 없음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부서는 카일의 일부 요청이 개인적인 성격이라는 이유로 처음에는 요청을 거부했고, 이후 공식적 사용에 한정된 요청에서는 이를 수용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과 AI의 역할

저널리스트 크리스 스토켈-워커는 다른 AI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계획을 밝혔으며, 정보 요청의 경계를 테스트할 기회가 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정보자유법이 AI와 관련하여 더욱 광범위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AI 자체가 정보 요청의 창작자가 될 수도 있다는 미래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